본문 바로가기

문학심리

[달과 6펜스] 스트릭랜드의 예술 집착과 사회 유기증 심리의 심리학적 해석

[달과 6펜스] 스트릭랜드의 예술 집착과 사회 유기증 심리의 심리학적 해석

 

서머싯 몸(W. Somerset Maugham)의 소설 [달과 6펜스(The Moon and Sixpence)]는 예술과 인간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대표작이다. 작품은 프랑스 화가 폴 고갱의 생애에서 영감을 받아 쓰였으며, 주인공 찰스 스트릭랜드의 파격적인 삶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평범한 런던의 증권 중개인이었던 스트릭랜드는 어느 날 가족과 사회적 지위를 버리고, 오직 그림을 위해 삶을 바친다. 그는 끝없는 예술적 집착 속에서 사회적 규범과 인간관계를 무참히 끊어내며, 극단적인 고독과 파멸로 나아간다. 이 글에서는 스트릭랜드의 행동을 예술 집착과 사회 유기증(social abandonment syndrome)이라는 심리학적 개념을 통해 분석한다.

 

 

1. 스트릭랜드의 예술 집착

1) 예술을 향한 절대적 욕망

스트릭랜드의 삶을 지배하는 것은 예술에 대한 절대적 집착이다. 그는 예술을 단순한 직업이나 취미가 아닌, 생존 자체와 동일시한다.

  • 일상의 거부: 그는 안정된 직업과 가정을 포기한다.
  • 관계의 단절: 가족과 친구, 사회적 명예조차 버리고 예술만을 추구한다.
  • 몰입의 극단성: 건강, 인간관계, 도덕적 의무조차 그림을 위해 희생한다.

2) 심리학적 분석: 강박적 몰입

스트릭랜드의 태도는 강박적 몰입(obsessive passion)의 전형이다.

  • 내적 강박: 선택이 아닌, 거부할 수 없는 내적 충동
  • 자기 파괴적 경향: 삶의 다른 모든 영역을 희생하며 집착
  • 창조적 광기: 프로이트가 말한 예술가의 무의식적 충동과 닮아 있다.

3) 프로이트의 해석

프로이트적 관점에서, 스트릭랜드의 예술 집착은 억압된 욕망과 본능이 승화된 형태다. 그는 사회적 규범과 도덕을 억압의 장치로 여기며, 원초아(Id)의 욕망을 예술이라는 승화된 형태로 폭발시킨다.

 

 

2. 사회 유기증: 관계와 소속의 거부

1) 사회 유기증이란?

‘사회 유기증(social abandonment syndrome)’은 현대 심리학에서 공식 용어는 아니지만, 여기서는 사회적 관계와 소속 욕구를 의도적으로 버리고 고립을 선택하는 심리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사회적 동물이며,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에서도 소속감은 기본 욕구로 등장한다. 그러나 스트릭랜드는 이 욕구를 철저히 거부한다.

2) 스트릭랜드의 관계 단절

  • 가족 유기: 아내와 자녀를 갑작스럽게 버리고 파리로 떠남
  • 사회적 지위 포기: 안정된 직업과 명예를 무가치하게 여김
  • 공동체와의 단절: 예술을 위해 사회의 도덕적 규범을 완전히 무시

3) 심리학적 분석

스트릭랜드의 사회 유기는 단순한 반항이 아니라, 자기 정체성을 예술에만 동일시하려는 심리적 선택이다. 그는 사회적 관계에서 오는 의무와 규범이 예술적 자유를 억압한다고 믿었고, 따라서 고립을 택했다.

 

 

3. 예술과 고독: 창작의 심리학

1) 창조적 고독

스트릭랜드의 고독은 그를 파괴하는 동시에 창조의 원천이 된다. 심리학자 도널드 위니콧은 창조적 작업에 있어 ‘혼자 있음의 능력’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러나 스트릭랜드의 고독은 건강한 고독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를 파괴한 끝에 남은 황폐한 고독이다.

2) 집착과 자기 소멸

  • 신체적 희생: 병과 빈곤 속에서도 그림을 그린다.
  • 정서적 단절: 사랑, 우정, 연민을 거부하며 오직 예술만 남긴다.
  • 자기 소멸적 창조: 예술은 그의 자아 전체를 집어삼키며, 그는 결국 인간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

3) 융적 해석

융의 분석심리학에 따르면, 스트릭랜드의 예술 집착은 무의식 속 그림자(Shadow)와의 동일시다. 그는 자신의 사회적 자아(Persona)를 철저히 부정하고, 무의식적 창조 본능과 합일한다. 그러나 그림자를 통합하지 못한 채 그림자와 동일시하는 그의 삶은 결국 자기(Self)의 균형을 잃게 된다.

 

 

4. 가족과 사회의 관점: 이기적 예술가인가, 위대한 창조자인가

1) 가족의 입장

스트릭랜드의 아내와 자녀는 그의 결정을 배신과 파괴로 경험한다. 이는 심리학적으로 애착 붕괴의 전형적인 사례다.

  • 가족은 그에게서 정서적·경제적 안정감을 상실
  • 그의 행동은 사회적 도덕 규범을 위반한 행위로 여겨진다

2) 예술의 입장

반면 그의 그림은 비범한 창조성을 보여준다. 이는 예술이 때때로 개인적·사회적 희생을 요구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3) 도덕적 딜레마

[달과 6펜스]는 독자에게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 “예술을 위해 인간적 책임을 버리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가?”
  • “창조적 천재와 이기적 인간 사이의 경계는 어디에 있는가?”

 

 

5. 스트릭랜드의 심리와 현대 사회

1) 자기실현의 극단

매슬로우의 자기실현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궁극적으로 자기 잠재력을 실현하려 한다. 스트릭랜드는 예술적 자기실현을 위해 다른 모든 욕구(안정, 소속, 인정)를 버린다. 이는 자기실현이 극단화될 경우 어떻게 개인과 사회를 붕괴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2) 현대 예술가와의 연결

오늘날에도 예술가나 창조적 인물들은 사회적 규범과 개인적 관계를 희생하며 창조에 몰입한다. 스트릭랜드는 그 극단적인 상징이다.

3) 사회적 고립과 심리적 병리

스트릭랜드의 삶은 현대인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고립(social isolation)과 닮아 있다. 특히 창조적 열정이나 직업적 집착으로 인해 가족과 관계를 소홀히 하는 현대인의 모습과 겹친다.

 

 

6. 결론: [달과 6펜스]가 던지는 심리학적 교훈

[달과 6펜스]는 단순한 예술가의 이야기 그 이상이다. 스트릭랜드의 삶은 예술 집착사회 유기라는 두 축을 통해, 인간 존재의 근본적 질문을 던진다.

  • 예술 집착: 그의 삶은 창조적 열정이 인간을 어디까지 몰아붙일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 사회 유기증: 사회적 관계와 도덕을 버린 그의 선택은 자아 실현과 사회적 책임 사이의 갈등을 드러낸다.
  • 심리학적 통찰: 스트릭랜드의 고독과 몰입은 무의식과 그림자와의 싸움이며, 동시에 현대 사회의 고립과 집착 문제를 반영한다.

작품은 독자에게 이렇게 묻는다:
“당신은 무엇을 위해 사회적 유대를 포기할 수 있는가?”
“예술과 자기실현은 인간적 책임을 넘어설 수 있는가?”

[달과 6펜스]는 예술의 본질과 인간 심리의 심연을 동시에 탐구하는, 시대를 초월한 문제작이다.